첫화면    나의쇼핑정보    쇼핑몰첫화면    숙박시설침구
장바구니보기 주문/배송조회 일반상담게시판 상품문의게시판 이용후기보기
 

 

 

 

 
작성일 : 08-09 17:32
여름이불로는 어떤 소재를 사용해야 할까요?
 글쓴이 : 라노비아
 

여름침구류 소재는 어떤 것이 적합할까?



사람은 잠을 자면서 체온이 많이 올라 땀을 흘리는데


무더운 여름에는 더 심해진다.


땀이 이불에 흡수되면 습도가 80~90%까지 올라가기 때문에


무더운 여름밤을 쾌적하게 보내려면 여름철 이불소재를 잘 선택하는 것이 좋다.


여름이불 소재는 땀을 흡수하고 땀을 잘 발산하는 종류를 선택한다.



** 면소재


가장많이 사용되는 소재는 얇은 면 보통 40수~60수등으로 불리우는 면소재이다.


60수, 40수, '수'라 하는 것은 1그램의 솜으로 60m 의 실을 만들면 60수


40m 의 실을 만들면 40수라고 부른다. 수가 높을 수록 가늘고 부드러워 촉감이 좋아


60수 면은 아기옷으로도 많이 사용된다.


60수는 고밀도 사틴면으로 제조되기도 하는데


사틴이란 고급면사로 가늘게 짠 실을 촘촘하게 배열하여 튼튼하고 부드럽게


제직된 원단을 말한다.


가공비용이 포함되어 가격이 좀 비싼편이다.


보통 40수는 사틴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 60수 로얄사틴 100% cotton 소재




50수 트윌 100% cotton 소재




40수 트윌 100% cotton 소재




보통 아이들 침구로는 60수 보다 40수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수가 높을수록 부드러워 촉감이 좋기는 하지만 잦은세탁을 하게 된다면


찢겨지거나 헤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 모시소재


여름철 침구로 부드러워 몸에 닿는 감촉이 좋고 시원한 바람이 잘 통하는 모시를


사용하기도 한다.



▼ 모시 원단 소재




** 린넨소재


또 여름철 소재로 린넨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천연소재의 자연스러운 멋이 느껴지는 린넨 소재는


수분과 땀을 잘 흡수하고 촉감이 부드러우며


통풍이 좋아 여름철 이불소재로 적합한 고급직물이다.



▼ 린넨 믹스 리플 100% linen




여름철 소재로 사용되는 리플 원단은


엠보가공하여 까슬까슬한 원단을 말한다.


리플원단으로는 면리플 원단과 라미리플 원단이 있다.


라미리플 원단은 모시에 엠보가공하여 면리플 보다는 덜 까실까실 하다.



▼ 라미 리플 100% rami




▼ 60수 투명 리플 100% cotton




** 시어서커 소재


시어서커(Sheer sucker)란?

그냥 서커라고도 한다. 영어의 시어(sheer)라는 뜻은 "아주 얇은, 비쳐 보이는" 것으로


가볍고 비쳐 보일 정도로 얇고 투명한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는 비치는 얇은 직물에 고유명사가 없을 때마다 일반 명칭 앞에


'시어"를 붙여 시어서커로 통용하게 된 것으로 시어개버딘(sheer gaberdine)이나


시어태피터(sheer taffeta)등도 그런 것이다.


이것은 제직에 앞서 장력이나 굵기 또는 꼬임 등이 다른 2종류의 경사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하여 제직 가공후에 경사의 수축의 차이에 따라 경사 방향으로


요철(당김과 늘어짐의 줄 무늬)의 나타나도록 한 직물을 말한다.


가령 수축이 일어나지 않은 경사 부분은 요철(uneveness)이 되어 나타나고


수축이 일어난 부분은 평평하게 나타나 요철부분과 비 요철 부분이


마치 스트라이프(stripe)처럼 보이는 직물이 된다. 이것이 시어서커 직물이다.


시어서커 직물은 세탁이 세탁이 편리하고 다림질할 필요가 없어 여름용 소재로 적합하다.



▼ 선염시어서커 100% cotton




여름철 침구류 선택시 색상은 흰색을 선택할 때는 바래질 수 있으니


세탁이 편리한 제품을 선택한다.


원단의 종류에 따라 가격대가 다르긴 하지만


침구의 가격이 원단이 좋다고 무조건 가격대가 높아지는 것이 아니다.


면침구라도 수가 높은 침구가 무조건 비싼것도 수가 낮은 침구가 가격이 저렴한것도 아니다.


침구세트에 소요된 원단의 면적과 디자인 구성에 따라 가격이 정해지기 때문이다.


위에 예를 들어놓은 침구 이외에도 레이온지지미 원단도 여름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자가드 침구류도 여름철에는 제작 방식을 달리 하기 때문에 여름소재로 적합하지 않은것도 아니다.


또 여름용 소재라 하더라도 초가을까지 무난한게 사용할 수 있는 원단이므로


색상을 잘 선택하는 것도 여름침구 선택의 요령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