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encel은 강력 rayon의 일종으로 최초의 강력 rayon인 polynisic이나 modal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rayon섬유이며 현재 lyocell계의 섬유로 구분 되어 진다.
TENCEL의 특징 중 POLYNOSIC 이나 MODAL 과 다른(실제는 더 나은) 특성은 -제조시의 오염물질 95%회수(이것이 우리나라에서는 별로 APPEAL할 수 있는 요소는 아니지만 환경친화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유럽에서는 가장 중요한 FACTOR이다) -습윤강도 향상 VISCOSE -FIBRILLATION 우수 VISCOSE -습윤상태 에서의 팽윤: 길이 방향 으로는 일어나지 않고 직경 방향 으로만 일어남(40%) 건조후 팽윤 되었던 공간이 그대로 남아 BULKY 성을 부여 하게 되나 이 팽윤성 때문에 물에 젖으면 딱딱 해 지는 특성이 있다.
*FIBRILLATION(분섬)
FIBER 한 개가 나뉘는 과정으로 여러 개가 되는 것은 아니고 큰 줄기는 그대로 있으되 수 많은 작은 가지들이 본 줄기에 생기는 개념으로 생각 하면 됨 이 것은 VISCOSE 에도 있는 성질로 많으면 PILLING 이 생기는 원인 이기도 함 따라서 이것이 우수하다 함은 제어를 할 수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장점이 될 수도 있고 단점이 될 수 도 있음. 이 것을 적당히 조절 해서 MODAL 특유의 PEACHSKIN TOUCH를 가지게 되는 것임.
*TENCEL 의 BIO WASHING 가공
위의 FIBRILLATION을 제어 하기 위하여 ENZYME 을 이용한 가공을 하게 됨 MODAL에 FIBRILLATION 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SAND WASH 라는 강제적인 물리적 힘이 필요 하게 되나 TENCEL 은 일반적인 전처리,염색가공 등의 진행 중에도 분섬이 진행됨 따라서 TENCEL 의 가공은 1차 FIBRILLATION 과 2차 FIBRILLATION 에 의해 이루어 지게 됨. 1차분섬은 수세 표백 염색 등에 의해 자연적으로 일어나게 되는데 이때의 털은 섬유의 외층 에서 일어 나게 되며 지저분 한 잔모 의 형성을 야기 시켜서 PILLING처럼 되므로 효소(ENZYME)로 완전히 제거 하게 된다 (DEFIBRILLATION) 이는 염색 전에 실시 하게 되며 염색 후 표면이 깨끗한 상태에서 2차 분섬을 일으키며 이는 내층(CORE)에서 발생 되어 매우 규칙적이고 HIGH POINT와 CROSS POINT 에서만 집중적으로 FIBRIL 화를 일으켜 특유의 고운 PEACHSKIN 외관을 얻게 된다 TENCEL이 비싼 이유는 그 자체의 원료 값 보다는( MODAL과 비교하여 별로 차이가 나지 않는다) BIO WASHING 가공이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것에 기인한다 아직도 MODAL보다는 약 2배 정도 되는 가공시간이 소요 되므로 당연히 가공료가 비싸야 한다.
*A-100 이란?
TENCEL의 FIBRILLATION을 단점으로 간주 하고 이의 진행을 아예 막는 가공 으로 KNIT 업계의 요구로 시작 된 AXIS 가공이 그 원천임 원사 상태에 AXIS란 약제를 투여 FIBRIL 화를 원천적 으로 봉쇄 한다 여기에 착안 하여 이 AXIS를 아예 FIBER 상태에 투여 하여 FIBRIL 화가 일어나지 않는 새로운 TENCEL 을 만들어 내게 되었는데 이것 이 바로 A-100 이란 제품 이다 A-100은 일반 TENCEL 과는 달리 털이 없는 매끈한 제품이 되므로 BIO WASHING가공이 전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아직은 주로 KNIT에 쓰이고 있지만 이미 대만에서는 WOVEN 으로 개발 하여 상품화 단계에 와 있는 상태이고 미국시장 에는 이미 상품이 출현 되었음 그러나 아직은 초기단계 이고 워낙 KNITTING용으로 불티 나게 팔리고 있어서 WOVEN의 개발이 늦어지고 있고 가격도 그리 싸지 않은 상태라서 당장 공급 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참고로 염색 및 가공비를 비교 해 보면 AXIS TENCEL이 100 일때 A100은 60 이고 MODAL은 68 면은 88 정도로 보면 되겠음.
*tencel의 가공
TENCEL 의 염색은 일반 레이온과 크게 다를 바 없지만 일단 한번 발생한 주름은 다시 수정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아주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FIBRIL 감량공정전이나 또는 후에 FIBRIL 공정을 거치면 색상이 FADE OUT 되는 효과가 나타나므로 색상관리에 철저함을 기해야 한 다고 지적했다.
보다 선명한 관리 컬러를 원할 경우 염색을 FIBRIL 감량 후에 행하며 FADE OUT효과를 원할 경우에는 염색 후에 FIBRIL 감량을 하는 공정으로 작업하면 된다. 현재 일반적으로 널리 가공되는 것은 후자 쪽이며 피치 감이나 소프트 터치 반발 성을 얻기 위해서는 염색 후에 FIBRIL 감량 가공하는 것을 추천했다.
또한 색상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염료선택에 주의를 해야 하며 염료가 FIBRIL 감량 과정 에서 산성상태를 유지하여 감량하므로 산에 안정성이 있어야 한다. 또 효소작용이 약해지는 염료선택을 피한다. . TENCEL A100은 기존 TENCEL의 변형제품으로 섬유생산 과정 중 FIBRIL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처리 기존TENCEL 과는 다른 외관을 만들어 내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우아한 광택과 아름다운 DRAPE성에 실용성, 특히 뛰어난 염색성과 세탁성은 TENCEL A100만의 특성이자 장점이다.
면직물의 감량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지만 TENCEL은 전혀 다른 거동을 함으로 주의해야 한다. 이 거동은 2관능기 염료에서 현저하게 나타나고 염료가 2개의 섬유 염료간 결합을 형성하려 면 가교 결합이 효소의 효력에 영향을 미치므로 단 관능기의 MTC계 REACTIVE RED 3 같은 것은 염색 후 효소 처리하면 파괴될 가능성이 있다.à물이 빠진다는 얘기임 대부분 반응염료를 사용해 염색하므로 2관능기 염료를 사용 CPB 염색 후 효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만약 가교결합이 많아지면 FIBRIL 화는 감소하게 된다.
FIBRIL 화 된 직물은 강력이 30%정도 감소되고 물에 의한 팽윤은 65%에서 55%로 저하되며 이것을 다시 건조하면 50%로 떨어지므로 가공 후 물에 다시 넣어도 딱딱해지거나 주름발생 이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색은 초기에는 CPB 염색방법을 많이 썼으나 현재는 액류 염색에서도 염색을 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액류 염색기의 선택은 에어제트 기가 주름도 적고 염색가공에 유리한 가공기로 알려져 있고 한 기계에서 전처리 염색, 염색, FIBRIL 감량 tumble 건조까지 할 수 있는 기계도 있다. 감량가공공정은 텐셀 직물의 FIBRIL 감량 공정 직물에 따라 다르겠으나 100% TENCEL 20수 twill을 기준으로 하면 다음과 같다. 40도 근처에서 원단을 투입하고 욕중 유연제를 투입 80도 까지 승온 후 가동한다. 산 투입후 PH 4.5-5로 조정 효소투입 55도 정도 승온 후 가동하며 80도까지 온도를 올려 효소를 죽여 활성을 정지시키고 SOAPING washing 유연제를 투입하는 순으로 진행한다.
효소처리 이외의 방법으로는 AXIS 약품을 사용해 가교결합을 형성하는 것과 기모기 타입 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기모기 타입은 약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EMERY ROLL을 이용 해 피치 효과를 내는 방법이다. 이것은 효소 감량법 보다 다소 품질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 으나 연속작업이 가능하고 생산성은 높기 때문에 검토가 필요하다.
그 다음으로는 액체 암모니아 처리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일본의 일청방에서 면 S. S. P 가공과 거의 동일한 방법으로 텐셀 데님에 한해 액체 암모니아 처리해 독특한 터치를 얻고 있다.
이 같은 기술개발로 가공력을 인정 받고 있는 대농은 현재 TENCEL 100이외 TENCEL/COTTON, TENCEL/WOOL, TENCEL/LINEN, TENCEL/ACRYLIC.TENCEL /POLYESTER 등 혼방 및 교직물 SPANDEX, CORE, 강연직물, 팬시들로 점차 그 영역을 확대응용하고 있는 추세다.
TENCEL 의 염색은 일반 레이온과 크게 다를 바 없지만 일단 한번 발생한 주름은 다시 수정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아주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FIBRIL 감량공정전이나 또는 후에 FIBRIL 공정을 거치면 색상이 FADE OUT 되는 효과가 나타나므로 색상관리에 철저함을 기해야 한 다고 지적했다.
보다 선명한 관리 컬러를 원할 경우 염색을 FIBRIL 감량 후에 행하며 FADE OUT효과를 원할 경우에는 염색 후에 FIBRIL 감량을 하는 공정으로 작업하면 된다. 현재 일반적으로 널리 가공되는 것은 후자 쪽이며 피치 감이나 소프트 터치 반발 성을 얻기 위해서는 염색 후에 FIBRIL 감량 가공하는 것을 추천했다.
또한 색상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염료선택에 주의를 해야 하며 염료가 FIBRIL 감량 과정 에서 산성상태를 유지하여 감량하므로 산에 안정성이 있어야 한다. 또 효소작용이 약해지는 염료선택을 피한다.
TENCEL A100은 기존 TENCEL의 변형제품으로 섬유생산 과정 중 FIBRIL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처리 기존TENCEL 과는 다른 외관을 만들어 내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우아한 광택과 아름다운 DRAPE성에 실용성, 특히 뛰어난 염색성과 세탁성은 TENCEL A100만의 특성이자 장점이다.
면직물의 감량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지만 TENCEL은 전혀 다른 거동을 함으로 주의해야 한다. 이 거동은 2관능기 염료에서 현저하게 나타나고 염료가 2개의 섬유 염료간 결합을 형성하려 면 가교 결합이 효소의 효력에 영향을 미치므로 단 관능기의 MTC계 REACTIVE RED 3 같은 것은 염색 후 효소 처리하면 파괴될 가능성이 있다.à물이 빠진다는 얘기임 대부분 반응염료를 사용해 염색하므로 2관능기 염료를 사용 CPB 염색 후 효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만약 가교결합이 많아지면 FIBRIL 화는 감소하게 된다.
FIBRIL 화 된 직물은 강력이 30%정도 감소되고 물에 의한 팽윤은 65%에서 55%로 저하되며 이것을 다시 건조하면 50%로 떨어지므로 가공 후 물에 다시 넣어도 딱딱해지거나 주름발생 이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색은 초기에는 CPB 염색방법을 많이 썼으나 현재는 액류 염색에서도 염색을 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액류 염색기의 선택은 에어제트 기가 주름도 적고 염색가공에 유리한 가공기로 알려져 있고 한 기계에서 전처리 염색, 염색, FIBRIL 감량 tumble 건조까지 할 수 있는 기계도 있다. 감량가공공정은 텐셀 직물의 FIBRIL 감량 공정 직물에 따라 다르겠으나 100% TENCEL 20수 twill을 기준으로 하면 다음과 같다. 40도 근처에서 원단을 투입하고 욕중 유연제를 투입 80도 까지 승온 후 가동한다. 산 투입후 PH 4.5-5로 조정 효소투입 55도 정도 승온 후 가동하며 80도까지 온도를 올려 효소를 죽여 활성을 정지시키고 SOAPING washing 유연제를 투입하는 순으로 진행한다.
효소처리 이외의 방법으로는 AXIS 약품을 사용해 가교결합을 형성하는 것과 기모기 타입 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기모기 타입은 약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EMERY ROLL을 이용 해 피치 효과를 내는 방법이다. 이것은 효소 감량법 보다 다소 품질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 으나 연속작업이 가능하고 생산성은 높기 때문에 검토가 필요하다.
그 다음으로는 액체 암모니아 처리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일본의 일청방에서 면 S. S. P 가공과 거의 동일한 방법으로 텐셀 데님에 한해 액체 암모니아 처리해 독특한 터치를 얻고 있다.
이 같은 기술개발로 가공력을 인정 받고 있는 대농은 현재 TENCEL 100이외 TENCEL/COTTON, TENCEL/WOOL, TENCEL/LINEN, TENCEL/ACRYLIC.TENCEL /POLYESTER 등 혼방 및 교직물 SPANDEX, CORE, 강연직물, 팬시들로 점차 그 영역을 확대응용하고 있는 추세다.
Polynosic이 개발 된 이유와 tencel이 개발 된 동기는 각각 다릅니다 Polynosic은 viscose의 물리적인 약점을 보완 하기 위한 목적이 있었고 Tencel은 처음부터 환경 친화의 목적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polynosic도 viscose 보다는 cellulose에 대한 화학 처리 조건이 덜 가혹해서 원료인 전나무의 아황산 펄프로부터 생기는 공해 물질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cellulose에 화학 처리를 하는 한 발생하는 공해 물질을 근본적으로 회수 하기가 불가능 했습니다 그에 반해 tencel은 cellulose에 화학 처리를 거치지 않고 직접 용매에 녹이는 방법으로 원료를 얻게 됨으로써 공해 물질을 거의 완벽하게 회수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제품의 사용 후 폐기된 후의 땅 속에서의 생분해성도 탁월 한 것으로 알려 져 있다(잘 썩는다는 말이지요)
디메틸아세트 아미드나 액체 암모니아 NMMO등의 유기 용매가 발견 되었고 그 중 NMMO/H2O가(아민 옥사이드) 상업적으로 생산 가능한 용매로 확인 되었고 1992년에 아시는 바와 같이 지금의 ACORDES인 코톨즈에서 TENCEL의 상업적인 생산에 성공 했습니다 지금의 TENCEL은 모두 STAPLE FIBER입니다만 FILAMENT의 제조도 곧 성공 할 것으로 알려 져있습니다.
POLYNOSIC과 MODAL은 TENCEL과 LYOCELL의 관계처럼 같은 물성이지만 제조 BRAND만 다른 것입니다 원료인 솜을 자세히 관찰 해 보면 각각 모습도 많이 다르고 HAND FEEL도 많이 다르지만 실제로 원사를 거쳐 제조된 KNIT나 원단은 차이를 알 수 없을 정도로 똑 같습니다
POLYNOSIC이 금년에 생산을 마감하게 된 이유 중 가장 큰 것 중의 하나가 공해 물질을 처리 하는 비용이 너무 과다하여 생산 원가가 너무 비싸져서 시장에서 살아 남을 수가 없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거기에 비해서 나중에 만들어진 LENZING의 MODAL은 처음부터 공해 물질 회수에 INFRA 투자가 선행 되었기 때문에 지금 살아 남은 거라고 생각 됩니다
|